리젠 아너 CEO. EPA=연합뉴스
화웨이에서 독립한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 아너가 인공지능(AI)에 향후 5년간 100억달러(약 14조6천억원)를 투자한다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이 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리젠 아너 최고경영자(CEO)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 개막을 하루 앞둔 현지시간 2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리 CEO는 "대규모 투자를 통해 사용자 경험 변화에 초점을 맞춘 AI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것으로 시작해 PC와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 AI 생태계를 확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너는 현재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빅테크들과 협력해 스마트폰에 AI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주에는 딥시크 R1 모델을 자사 가상 비서 겸 검색 엔진 요요(Yoyo)에 통합했다고 발표했다.
세계 시장에서는 구글과 손을 잡고 제미나이 AI 모델을 탑재했다.
화웨이의 저가 스마트폰 브랜드였던 아너는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제재가 시작되자 2020년 중국 선전 지방정부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매각됐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아너의 작년 4분기 중국내 스마트폰 출하량 점유율은 13.7%로 애플과 비보, 화웨이, 샤오미에 이어 5위에 그쳤다.
아너는 현재 상장을 추진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AI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격화하면서 기업들이 앞다퉈 투자에 나서고 있다.
알리바바가 지난해 11월 50억 달러(약 7조3천억원) 규모의 달러 및 위안화 채권을 발행한 데 이어 중국 최대 검색 포털업체 바이두도 100억 위안(약 2조원) 규모 역외 채권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3일 보도했다.
바이두의 채권 발행은 2021년 이후 처음이며, 오는 4월 만기가 도래하는 6억 달러(약 8천772억원) 규모 유가증권 상환을 앞두고 이뤄지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가 오픈AI·오라클과 함께 합작사 스타게이트를 만들고 향후 4년간 5천억 달러(약 730조원) 이상을 투자해 AI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정보기술(IT)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2일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소프트뱅크 임원진이 AI 투자를 위해 160억 달러(약 23조3천억원)를 빌리는 방안을 최근 은행권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손 회장이 이와 별개로 내년 초 80억 달러(약 11조6천억원)를 추가로 빌릴 가능성도 거론된다.
소프트뱅크는 스타게이트에 150억 달러(약 21조9천억원)를 투입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지며, 이와 별개로 오픈AI에 최대 250억 달러(약 36조5천억원)를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이 돈은 오픈AI의 스타게이트 투자금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